1. 세션 (Sessions): 방문 정의
세션을 트래픽의 최소 단위로 정의할 때 특정 기준 시간을 정해둔다.
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 30분이다. 30분 동안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고 있다면 방문이 끝난 것으로 정의하고, 30분이 지나기 전 다시 무언가를 시작한다면 방문이 이어진 것으로 여긴다. 이처럼 임의의 기준이 생길 때 비로소 세션 수를 셀 수 있게 된다.
2. UV (Unique Visitors): 사람의 수
UV 동일한 사람이 한 것으로 추정되는 것을 중복제거한 개념이다. 때문에 방문 수가 아닌 방문자 수라고 표현한다.
방문자 수를 통해 고객 획득 비용(CAC)과 광고 포트폴리오 분석, 채널 간 기여도 분석이 가능해진다.
UV는 측정하는 기준 기간이 중요하다. 기간에 따라 중복되는 숫자를 제거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. 너무 길면 신뢰도가 떨어지고, 그렇다고 너무 짧으면 활용도가 제한적이다. 때문에 통상적으로 UV는 일 기준, 월 기준으로 측정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.
3. DAU (Daily Active Users): 전환의 크기
DAU는 가장 직관적으로 전환 크기, 즉 우리가 돈을 얼마나 벌 수 있을까를 알려주는 지표이다.
보통 플랫폼들은 방문한 고객들의 전환(결제)을 목표로 한다. 플랫폼의 질을 보여주는 지표는 전환율이다. 전환율이 높을수록 플랫폼이 잘 설계되어 있다는 뜻이다.
4. MAU (Monthly Active Users): 플랫폼의 힘
DAU가 전환 볼륨을 좌우한다면, MAU는 플랫폼의 힘을 직관적으로 나타낸다.
매일매일의 매출을 올릴 때는 DAU 기준으로 피드백을 하면 되지만 우리 플랫폼이 가진 고객의 수, 옆 경쟁 플랫폼과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MAU를 사용한다.
5. 고착도 (DAU/MAU, Stickness): 플랫폼의 로열티
고착도(Stickness)는 고객의 로열티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. 고착도는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기준이 달라진다.
https://yozm.wishket.com/magazine/detail/764/
무엇에 쓰는 마케팅 용어인고②: 트래픽은 측정하기 나름이다 | 요즘IT
퍼포먼스 마케팅의 목적은 바로 우리 플랫폼으로 더 많은 고객을 끌어오는 것, 즉 트래픽을 모으는 겁니다. 일단 트래픽이 모이면 돈을 벌 기회가 생기기 시작했고요. 그 덕에 트래픽만 많이
yozm.wishket.com
'아티클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아티클 스터디] 이커머스란? (4) | 2024.10.02 |
---|---|
[아티클 스터디] 마케팅 용어 - 고객 (3) | 2024.10.02 |
[아티클 스터디] 마케팅 용어 - 마케팅의 클래식, 프레임워크 (1) | 2024.10.02 |
[아티클 스터디] 더 나은 대시보드 디자인을 위한 10개명 (0) | 2024.09.10 |
[아티클 스터디] 분석 목적에 맞는 고객 세그먼테이션 방법을 찾아서 : Customer segmentation (4) | 2024.09.09 |